|
완도
씨월드 방파제 1.5 km |
완도 부근
북방파제 빨간등대(*완도 마리나 포인트) 1.7 km |
완도 부근
강독 선착장 1.8 km |
신지도
노랑바위 부근 1.9 km |
완도
망남리 방파제 2.0 km |
완도 부근
장항곶 갯바위 2.4 km |
완도 부근
강독리 방파제 2.4 km |
신지도
무인등대 부근 2.5 km |
완도
가용리 방파제 2.6 km |
완도
석장리 방파제 갯바위 3.2 km |
신지도
송곡뒷항 방파제 및 선착장 3.3 km |
신지도
임촌명사항 방파제 3.4 km |
신지도
송곡리 호안로 갯바위 3.7 km |
고금도·조약도
상정선착장 좌측석축 3.8 km |
완도
죽청리 방파제 3.9 km |
신지도
완도대구두앞바다 4.8 km |
완도
장도앞해상 5.0 km |
완도
장좌리 방파제 5.7 km |
고금도·조약도
상정리 방파제 5.8 km |
완도
대야리앞해상 6.2 km |
신지도
대곡항 북쪽 갯바위 6.6 km |
신지도
월양항 부근 제방 6.7 km |
고금도·조약도
대곡 방파제 6.8 km |
고금도·조약도
장항리마을 방파제 7.1 km |
신지도
내동리 방파제 부근 갯바위 7.6 km |
신지도
대곡리 북쪽 양식장 배수구 부근 7.7 km |
신지도
신지도최남단앞바다 7.9 km |
신지도
대곡리 남쪽 양식장 배수구 부근 8.0 km |
완도
화흥 방파제 8.1 km |
고금도·조약도
봉성리마을 방파제 8.1 km |
신지도
내동리 양식장 부근 갯바위 8.1 km |
완도
대창리 방파제 8.2 km |
완도 부근
대창구 방파제 8.2 km |
완도 부근
사후도 남측 갯바위 8.4 km |
완도
납당여부근해상 8.7 km |
신지도
세포항 방파제 8.9 km |
신지도
가인항 양식장 부근 갯바위 9.1 km |
고금도·조약도
척찬리 방파제 9.3 km |
완도 부근
사후도 동측 갯바위 9.3 km |
고금도·조약도
봉명리 방파제 9.4 km |
신지도
도트럼끝 부근 9.7 km |
완도 부근
사후도 북측 갯바위 9.9 km |
신지도
동고항 방파제 10.6 km |
완도
당인리 포구 10.6 km |
신지도
동고리해수욕장 방파제 10.6 km |
신지도
무생끝 부근 10.6 km |
완도 부근
고마도 동측 갯바위 10.6 km |
완도
불목리 방파제 10.7 km |
고금도·조약도
칠인리 방파제 10.7 km |
고금도·조약도
화성방파제 10.9 km |
신지도
동두산각 부근 갯바위 11.0 km |
완도
칠암각 갯바위 11.3 km |
고금도·조약도
우두리 방파제 11.5 km |
신지도
방죽포항 선착장 11.6 km |
신지도
동고리 남쪽 갯바위 11.7 km |
청산도·대모도
대모도 북곧말 갯바위 11.7 km |
완도
삼두리 방파제 11.8 km |
완도
삼두리 남측선창 11.8 km |
고금도·조약도
용초리 방파제 11.9 km |
신지도
제도부근 12.1 km |
신지도
방죽포 철탑 부근 갯바위 12.2 km |
완도 부근
고마도 서측 해안 12.3 km |
완도 부근
고마도 북측 해안 12.3 km |
신지도
덕구미 부근 12.4 km |
고금도·조약도
득암 방파제 12.5 km |
완도
갈문리 방파제 12.7 km |
청산도·대모도
대모도 모서항 방파제 12.7 km |
완도
황진리 방파제 12.8 km |
고금도·조약도
세동리 방파제 12.8 km |
고금도·조약도
천동 선착장 12.8 km |
ㆍ완도 인근 낚시포인트 정보 |
ㆍ포인트명 | 씨월드 방파제 |
---|---|
ㆍ지역 | 완도 |
ㆍ수심 (m) | 0~2.0 |
ㆍ저질 | 암 |
ㆍ적정물 때 | 초들물~중날물 |
ㆍ기준위치와 거리 | 1.5 km |
ㆍ대상어(종) | 숭어-릴찌,장대,홀치기 우럭-릴찌,원투 농어-루어,릴찌 감성돔-릴찌,장대,원투 참돔-부력,잠수 붕장어-원투 |
ㆍ포인트 사진 |
ㆍ지역 소개 |
완도의 주요 어종은 농어, 감성돔, 참돔, 숭어 등이다. 루어낚시는 그럽웜, 메탈지그, 미노우 플러그, 지그헤드 등을 사용하며, 릴찌낚시, 민장대낚시, 부력찌낚시(고부력찌 반유동,저부력찌 전유동), 원투낚시, 잠수찌낚시, 훌치기낚시는 크릴, 깐새우, 민물새우, 참갯지렁이, 청갯지렁이, 게, 갯지렁이, 정어리살, 전어살, 미꾸라지, 오징어살(꼴두기살) 등을 사용한다. 완도 방파제에서도 낚시를 많이 하며, 완도의 서측부근 방파제에서도 낚시를 많이 한다. 주로 완도항 방파제에서 갑오징어 및 감성돔이 잘 올라오는 편이다. |
ㆍ주의사항 |
완도항 입구 몰서(방파제) 주변에 간출암이 존재하고 섬 주변으로 다수의 양식장이 있으며 남측의 왜몰초, 서측의 납당여 부근을 운항하는 선박은 주의하여야 한다. |
ㆍ기상 조류 |
[기상] - 비교적 저위도 지방인 한반도의 남서쪽에 위치하여, 연평균 강수량 1532.7mm, 연강수일수 110일로 다우지역에 속하며 우기인 7월의 월평균 강우량은 285.3mm 인데 비하여 건기인 12월은 27.4mm로서 그 차는 258.3mm이며 12월의 강우량에 10.4배 이상에 달한다. 연평균기온은 14.1℃로써 높은편이고 월평균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일이 극히 드물다. 여름철 최고기온은 타지역 보다 낮고 겨울철 최저 기온은 높아 온화한 해양성기후이며, 바람은 연중 북 ?북서풍이 많고 연평균 풍속은 3.6㎧로 다소 강한 편이며 SE풍이 불때는 취주거리가 길어져 파고가 높은 편이다. [조류] - 조류의 회전방향은 완도를 중심으로 동쪽에서는 반시계방향, 완도 서쪽은 시계방향이 나타난다. 최대 창조류는 해안선을 따라 서쪽과 북쪽으로 흐르며, 낙조류는 그 반대이다. 완도 동쪽에서는 3.1kn로 크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수로에서 1.9kn 정도이다. 완도 서쪽에서는 3.9kn이상 나타난다. |
ㆍ계절별 주요 대상어종 및 평균수온 |
- 봄 표층 : 14.1℃ 저층 : 13.7℃ → 감성돔, 숭어 - 여름 표층 : 22.1℃ 저층 : 22.0℃ → 농어, 감성돔, 참돔, 숭어 - 가을 표층 : 15.9℃ 저층 : 15.8℃ → 우럭, 참돔, 숭어, 붕장어 - 겨울 표층 : 7.6℃ 저층 : 7.5℃ → 감성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