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봉도
채석장 북갯바위(가막머리) 23.7 km |
장봉도
채석장 부근 24.0 km |
장봉도
진촌 서갯바위 24.4 km |
덕적도·소야도
선미도부근 24.7 km |
장봉도
야달선착장 24.7 km |
장봉도
진촌해수욕장 선착장 25.9 km |
영종도·용유도
영종도북측수문북서측해상 26.4 km |
덕적도·소야도
덕적도 능동자갈마당 갯바위 26.5 km |
덕적도·소야도
단탄부근 26.9 km |
덕적도·소야도
덕적도 소재해변 갯바위 27.0 km |
영종도·용유도
왕산해변북서측해상 27.1 km |
덕적도·소야도
덕적도 파락금이 갯바위 27.5 km |
영종도·용유도
왕산 갯바위 27.8 km |
덕적도·소야도
덕적도 덕적항 서방파제 28.1 km |
영종도·용유도
을왕리 갯바위 28.5 km |
영종도·용유도
영종도 북측수문 28.6 km |
영종도·용유도
을왕리 선착장 28.7 km |
장봉도
옹암선착장 남쪽 갯바위 29.3 km |
장봉도
옹암선착장 29.6 km |
장봉도
옹암방파제(죽은여) 29.7 km |
덕적도·소야도
덕적도 목섬 부근 29.8 km |
영종도·용유도
선녀바위 30.0 km |
석모도
민머루해수욕장 앞 갯바위 30.0 km |
영종도·용유도
영종도 북측제방 30.5 km |
시도
부도부근해상 30.6 km |
장봉도
부도부근 30.9 km |
시도
조각공원 북측 갯바위 31.2 km |
연평도
시노도 갯바위 31.2 km |
연평도
얼굴바위 앞 31.3 km |
덕적도·소야도
덕적도 서포리해수욕장 방파제 31.3 km |
시도
조각공원 서측 갯바위 31.4 km |
덕적도·소야도
덕적도 정자바위 31.5 km |
연평도
광산 선착장 31.6 km |
덕적도·소야도
용담갑앞바다 31.6 km |
시도
조각공원 동측 갯바위 31.7 km |
덕적도·소야도
덕적도 진리선착장 31.7 km |
무의도
실미도북서측 갯바위 31.8 km |
자월도
묵통도부근 31.9 km |
무의도
실미도남서측해상 32.1 km |
덕적도·소야도
소야도 뒷장불 32.1 km |
덕적도·소야도
덕적도 서포리 선착장 32.2 km |
무의도
실미도해변 갯바위 32.3 km |
시도
시모도 연육교 32.4 km |
연평도
감마금뿌리 32.4 km |
연평도
소연평항 방파제 32.6 km |
덕적도·소야도
덕적도 큰이마, 작은이마 32.7 km |
덕적도·소야도
덕적도 밭지름해수욕장 갯바위 32.8 km |
덕적도·소야도
감증탄부근 33.0 km |
무의도
무의도 곶부리 33.0 km |
문갑도·선갑도
문갑도감증탄부근 33.1 km |
자월도
큰굴 부근 33.1 km |
영종도·용유도
잠진도 연육교 33.3 km |
연평도
모이도 갯바위 33.3 km |
자월도
마바위 33.4 km |
석모도
섬돌모루 33.5 km |
덕적도·소야도
소야도 변도 방파제 33.5 km |
시도
수기해변 서측 갯바위 33.6 km |
석모도
선모도부근해상 33.7 km |
백아도·굴업도
굴업도동뿌리앞바다 33.7 km |
석모도
서도부근해상 33.9 km |
덕적도·소야도
소야도 떼뿌루해수욕장 갯바위 33.9 km |
석모도
하리낚시터 북측 34.0 km |
연평도
검은서 34.2 km |
백아도·굴업도
굴업도 북쪽 선착장 34.2 km |
백아도·굴업도
굴업도 해수욕장 동쪽 갯바위 34.2 km |
영종도·용유도
거잠포 선착장 34.3 km |
연평도
대연평항 방파제 34.3 km |
고금도·조약도
연동 방파제 34.4 km |
자월도
항도(목섬) 부근 34.4 km |
백아도·굴업도
굴업도 해수욕장 북쪽 갯바위 34.4 km |
ㆍ신도 인근 낚시포인트 정보 |
ㆍ포인트명 | 채석장 북갯바위(가막머리) |
---|---|
ㆍ지역 | 장봉도 |
ㆍ수심 (m) | 3m~3.5m |
ㆍ저질 | 자갈, 모래 |
ㆍ적정물 때 | 조금 전·후, 3물~5물 |
ㆍ기준위치와 거리 | 23.7 km |
ㆍ대상어(종) | 넙치-루어,원투 노래미-루어,릴찌,장대,원투 망둑어-원투 숭어-릴찌,장대,훌치기 붕장어-원투 우럭-릴찌,원투 |
ㆍ포인트 사진 | ![]() |
ㆍ지역 소개 |
장봉도의 주요 어종은 넙치, 노래미, 망둑어, 붕장어, 숭어, 우럭 등이다. 루어낚시는 그럽웜, 미노우 플러그, 지그헤드 등을 사용하며 릴찌낚시, 민장대낚시, 원투낚시, 훌치기낚시는 곤쟁이, 미꾸라지, 생선살, 오징어살, 전갱이, 참갯지렁이, 청갯지렁이, 크릴 등을 사용한다. 장봉도 부근은 사리 때에는 물살이 강하므로 조금 때 낚시하기가 좋다 |
ㆍ주의사항 |
장봉도 남쪽해역은 김양식장이 산재해 있고 옹암선착장 북쪽 부근으로는 암초가 많으므로 고조시라도 주의해야 한다. |
ㆍ기상 조류 |
[기상] - 매년 5~7월은 안개가 짙은 날이 많고, 11~1월은 풍랑이 심한 날이 잦다. 이에 여객선 운항이 중단되는 날이 있으니 기상예보에 주의하여야 한다. [조류] - 장봉수도에서 창조류는 북동쪽, 낙조류는 남서쪽으로 흐르며 사흥의 남동쪽 약 2.8km 지점의 최강유속은 창조류 3kn, 낙조류 2.7kn이며 장봉도와 부도 사이의 좁은 곳은 최대 6kn에 달할 때가 있다. |
ㆍ계절별 주요 대상어종 및 평균수온 |
- 봄 표층 : 12.8°C 저층 : 12.3°C → 넙치, 노래미, 붕장어, 숭어, 우럭 - 여름 표층 : 27.2°C 저층 : 25.9°C → 넙치, 붕장어 - 가을 표층 : 10.8°C 저층 : 11.3°C → 넙치, 노래미, 숭어, 우럭, 망둑어 - 겨울 표층 : 0.8°C 저층 : 0.8°C → 노래미 |
|
|
||||